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지프 체로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지프 체로키는 1974년 출시 이후 5세대에 걸쳐 생산된 지프의 SUV이다. 1세대는 1974년 지프 왜고니어의 고급형 모델로 시작하여, 2도어 스테이션 왜건으로 출시되었으며, 1977년 4도어 모델이 추가되었다. 2세대는 1984년 출시되어 오프로드 성능을 강화했고, 2001년까지 판매되었다. 3세대는 2002년 출시되었으며, 미국 외 지역에서는 체로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4세대는 2008년 출시되었으며, 2013년 단종되었다. 5세대는 2013년 출시되어 전륜구동 기반으로 변경되었으며, 2023년 단종되었다. 체로키는 다양한 엔진과 편의 기능을 갖추었으며, 대한민국 시장에서도 판매되었다. 또한, 체로키 부족 명칭 사용과 관련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브리사
    기아 브리사는 마쓰다 패밀리아를 기반으로 1973년부터 1981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픽업 트럭으로 먼저 출시된 후 세단과 스테이션 왜건 모델이 추가되어 1970년대 경제적인 승용차로 인기를 얻었으나 자동차산업 합리화조치로 단종되었으며, 영화 《택시운전사》에 등장하여 다시 주목받았다.
  • 1974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시로코
    폭스바겐 시로코는 1974년부터 2017년까지 생산된 스포츠 쿠페로, 1세대(주지아로 디자인), 2세대(폭스바겐 디자인), 3세대(골프 플랫폼 기반)로 나뉘며, 스포티한 주행 성능과 개성 있는 디자인을 선보였으나 2018년에 단종되었다.
  • 지프의 차종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지프의 차종 - 윌리스 MB
    윌리스 MB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을 위해 개발된 1/4톤 소형 사륜구동 차량으로, 험한 지형에서 뛰어난 기동성을 발휘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고, 전쟁 후 민수용으로 개조되어 현대 SUV의 원형으로 평가받는다.
  • 준중형 승용차 - 기아 스포티지
    기아 스포티지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소형 SUV로, 1993년 1세대 출시 이후 현재 5세대 모델까지 판매되며 각 세대별로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해왔다.
  • 준중형 승용차 - 현대 아반떼
    현대 아반떼는 1990년부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승용차로, 국내에서는 아반떼, 해외에서는 엘란트라 또는 란트라로 판매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파워트레인, 차체 형태를 갖춘 베스트셀러 모델이지만 일부 세대에서는 품질 논란이 있었다.
지프 체로키
지프 체로키
5세대 (KL)
5세대 (KL)
제조사지프
|아메리칸 모터스 코퍼레이션 (1974–1987)
크라이슬러 코퍼레이션 (1988–1998)
다임러 크라이슬러 (1999–2001)
|크라이슬러 그룹 LLC (2013–2014)
FCA US LLC (2015–2021)
스텔란티스 북미 (2021–현재)
생산년도1974–2023
차종풀사이즈 SUV (1974–1983)
소형 SUV (1984–2012)
소형 크로스오버 SUV (2013–2023)
구동 방식전방 엔진, 후륜 구동 (1974–2013)
전방 엔진, 전륜 구동 (2013–2023)
전방 엔진, 사륜 구동 (1974–2023)
차대보디 온 프레임 (1974–1983)
모노코크 (1984–2023)
조립 국가
오하이오주 털리도 (1974년~2018년)
일리노이주 벨비디어 (2018년~2023년)
기타
별칭지프 리버티

2. 역사

지프 체로키는 1974년 첫 출시 이후 여러 세대를 거쳐 발전해 온 지프의 대표적인 SUV 모델이다. 각 세대별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1세대 (SJ, 1974-1983): 지프 왜고니어를 기반으로 더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가졌으며, 초기에는 2도어 모델만 판매되었으나 1977년 4도어 모델이 추가되었다. "치프" 패키지를 통해 오프로드 성능을 강화했다.
  • 2세대 (XJ, 1984-2001): AMC 주도로 개발되었으며, 프레임 구조 차체를 채택하여 오프로드 성능을 극대화했다. 현대 SUV의 개척자로 평가받으며, 지프 그랜드 체로키라는 별도 모델 출시의 기반이 되었다. 1992년 우성산업을 통해 대한민국에 정식 출시되었다.
  • 3세대 (KJ, 2002-2007): 미국에서는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나, 미국 외 국가에서는 체로키라는 이름을 유지했다. 원형 헤드 램프와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하여 지프 패밀리 룩의 기초를 다졌다. 2002년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대한민국에 출시되었다.
  • 4세대 (KK, 2008-2013): 닷지 니트로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컴패스의 등장으로 4기통 엔진은 사라졌다. 북미 시장에서는 지프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뱃지 엔지니어링을 통해 도지에서 나이트로라는 이름으로도 판매되었다. 대한민국에는 닷지 니트로가 수입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09년 수입이 중단되었다.
  • 5세대 (KL, 2013-2023): 피아트의 컴팩트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전륜구동 기반으로 변경된 최초의 체로키이다. 날렵한 디자인과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차세대 지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 2014년 9월 FCA 코리아를 통해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췄다. 2018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2023년 단종되었다.


5세대 체로키(KL)의 대한민국 출시 엔진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엔진배기량최고 출력최대 토크대한민국 출시 여부
2.0L 멀티젯 Ⅱ 디젤1,956cc170마력35.7kg.mO
2.2L 멀티젯 Ⅱ 디젤2,184cc185마력/200마력45.9kg.mO
2.4L 타이거샤크 가솔린2,360cc177마력/184마력23.4kg.m/24.2kg.mO
V6 3.2L 펜타스타 가솔린3,239cc271마력/275마력32.1kg.m/33.1kg.mO (2020년 출시, 이후 단종)
GME-T4 2.0L 가솔린 터보1,995cc272마력40.8kg.mX


2. 1. 1세대 (SJ, 1974-1983)

1974년에 출시된 1세대 지프 체로키는 지프 왜고니어와 비슷하지만 더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가졌다. 초기에는 2도어 스테이션 왜건으로만 판매되었으나, 1977년에 4도어 모델이 추가되었다. 직렬 6기통 4.2L(112마력), V8 5.9L(175마력), V8 6.6L(195마력) 가솔린 엔진과 4단 수동변속기 또는 3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했다. 1975년에는 더 큰 흙받이와 넓은 차축을 장착한 "치프" 패키지가 추가되어 오프로드 성능이 강화되었다.[1]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에 위치한 지프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1983년까지 판매되었다.

지프 체로키 정측면


지프 체로키 후측면


1975 지프 체로키 (미국)


체로키는 지프 왜고니어의 2도어 모델을 재출시한 것으로, 그린하우스를 다시 설계하여 C필러를 없애고 넓은 D필러와 긴 고정식 후면 측면 창문을 특징으로 했다.[1] 1972년 판매 부진을 겪었던 지프스터 콤맨도를 대체하며, 왜고니어보다 젊은 층을 겨냥했다.[1] 1974년 체로키 판매 브로셔에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했다.[3][4] 1977년부터 4도어 모델이 추가되었으며, 기본 모델 외에도 S(스포츠), 치프, 골든 이글, 골든 호크, 리미티드, 클래식, 스포츠, 파이오니어, 라레도 등 다양한 트림 레벨이 있었다.

1973년에 1974년형 모델로 출시되었을 당시, 체로키 족은 지프사에 이름 사용에 대해 문의하지 않았고, 체로키라는 이름에 대한 저작권도 없었으며, 부족에게 로열티도 제공되지 않았다.[17] 당시 이름들은 "수년에 걸쳐 신중하게 선택되고 보살펴져 왔으며, 그들의 고귀함, 뛰어남, 그리고 자부심을 기리기 위해 북미 원주민들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18]

2. 2. 2세대 (XJ, 1984-2001)

AMC 주도로 2억 5,000만 달러를 투입하여 개발되었다. 1984년에 출시되어 체로키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판매된 차종이다. 프레임 구조의 차체를 채택하여 오프로드 성능을 극대화했으며, 초기에는 직렬 4기통 2.5L OHV(105마력) 카뷰레터 가솔린 엔진, V형 6기통 2.8L LR2 OHV 가솔린 엔진, 직렬 4기통 2.1L(95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4단 및 5단 수동변속기, 3단 자동변속기 중 하나를 맞물렸다. 1985년에는 후륜구동이 추가되었고, 1987년에는 V6 4.0L OHV(173마력) 가솔린 엔진과 아이신의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1991년에는 고급 트림인 "브라이어 우드"를 출시했는데, 가죽과 비닐 실내 장식, 카세트 플레이어, 6개의 젠슨 AccuSound 스피커, 나무 타입 외관 데칼, 레이스 스포크 휠, AM/FM 라디오, 메이플 우드 그레인, 무선 도어 경보 시스템, 오버 헤드 콘솔, 전좌석 듀얼 에어컨을 추가했다. 1994년에는 직렬 4기통 2.5L(114마력) 디젤 엔진과 새로운 3단 자동변속기를 추가하였다. 1995년에는 운전석 에어백을 추가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1997년에 부분 변경을 거쳐 조수석 에어백도 추가되었다. 2001년 지프 창립 6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하고 미국 시장에서 단종되었으며, 다른 국가에서는 후속 차종에도 체로키라는 이름을 부여하여 역사를 이어갔다.

대한민국에는 1992년 우성산업을 통해 정식 출시되었으며, 2002년까지 판매됐다.[5]

2세대 체로키는 현대 SUV의 개척자로 평가받는다. 경쟁 차종들을 낳았고,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이 지프 디자인이 일반 승용차를 대체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아챘기 때문이다.[6] 또한 스테이션 왜건의 역할을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수많은 교외 주택 소유자의 눈에는 트럭에서 리무진으로 변신했다."[7] XJ는 "4륜구동의 진화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8]

2세대 체로키의 인기가 매우 높아 후속 모델은 지프 그랜드 체로키라는 별도의 차량으로 출시되어 지프의 주력 모델 라인을 시작했다.

2. 3. 3세대 (KJ, 2002-2007)

미국에서는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2002년에 출시되었으나, 미국 외 국가에서는 체로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이 때부터 오하이오주 털리도 북부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MB를 연상시키는 원형 헤드 램프와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하여 지프 패밀리 룩의 기초를 다졌다. 초기에는 V6 3.7L OHV(210마력) 가솔린 엔진과 직렬 4기통 2.5L(141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4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하였다. 2006년에는 직렬 4기통 2.4L(150마력) 가솔린 엔진, 직렬 4기통 2.8L(163마력) 디젤 엔진으로 바뀌었다. 여기에 5단 및 6단 수동변속기도 맞물렸다. 4륜구동은 상시와 파트 타임 형태로 나뉘었다. 2004년에는 부분 변경을 거쳐 범퍼 형상이 약간 변경되었다. 대한민국에는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2002년에 출시되어 2007년까지 판매되었다.

지프 체로키 정측면


지프 체로키 후측면

2. 4. 4세대 (KK, 2008-2013)

2007년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2008년에 출시되었다. 닷지 니트로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이전 세대에 있던 4기통 엔진은 컴패스의 등장으로 사라졌다. 이전 세대에서도 사용하던 V6 3.7L OHV(210마력) 가솔린 엔진만 적용되었으며, 4단 자동변속기 및 6단 수동변속기를 맞물렸다. 2009년에는 수요가 부진한 6단 수동변속기의 생산을 중단했으며, 2010년에는 에코 드라이브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2012년 8월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 공장에서의 생산이 중단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으며, 2013년에 단종되면서 리버티라는 차명은 소멸되었다. 대한민국에는 4세대 체로키 대신 형제차인 닷지 니트로2007년에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09년에 수입이 중단되었다.

북미 시장에서는 지프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계속 판매되었지만, 체로키는 2008년에 새롭게 디자인되었다. 처음으로, 4세대 체로키는 뱃지 엔지니어링을 통해 도지에서 나이트로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나이트로는 2011년 이후 단종되었고, 세르지오 마르치오네는 도지와 지프(그리고 크라이슬러)가 같은 판매망을 공유하면서 중복되는 차량을 피하기를 원했다.

체로키 모델에서 4기통 엔진은 더 작은 패트리엇과 컴패스가 더 높은 연비를 제공했기 때문에 삭제되었다. 2008년 모델부터는 아이언 블록, 알루미늄 헤드 V6 엔진이 표준 엔진이 되었다. 견인 능력은 약 2267.96kg였다. 지프는 더 엄격한 2007년 디젤 엔진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할 수 없었기 때문에 미국 시장에서 체로키의 CRD를 단종했다. 변속기는 6단 수동 변속기 또는 4단 자동 변속기의 기존 모델이었다. 표준 장비에는 롤 완화 기능이 포함된 전자식 안정성 제어 장치, 미끄럼 방지 장치, 그리고 브레이크 어시스트가 있는 잠금 방지 브레이크가 포함되었다. 새로운 기능으로는 표준 사이드 에어백이 포함되었다. 선택 사양으로는 비 오는 날 감지 와이퍼, 시리우스 위성 라디오, 블루투스, 내비게이션 시스템, 그리고 30GB 하드 드라이브가 있는 마이기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있었다.

2. 5. 5세대 (KL, 2013-2023)

5세대 체로키(KL, 2013-2023)는 피아트의 컴팩트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전륜구동 기반으로 변경된 최초의 체로키이다. 날렵한 디자인이 특징이며,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차세대 지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12]

2014년 9월 FCA 코리아를 통해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되었다. 170마력 2.0L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적용되었고, 이후 유로6 적용을 앞두고 185마력 2.2L 엔진으로 변경, 200마력으로 출력이 향상되었다가 2021년부터 판매가 중단되었다. 271마력 펜타스타 V6 3.2L DOHC 가솔린 엔진은 2020년 1월에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되었으나, 이후 판매가 중단되었다. 2023년 단종 시점에 대한민국에는 2.4L 타이거샤크 가솔린 엔진만 남았다.

2013년 출시 당시, 직렬 4기통 2.0L 및 2.2L 멀티젯 Ⅱ 디젤 엔진, 타이거샤크 2.4L SOHC 가솔린 엔진, 펜타스타 V6 3.2L DOHC 가솔린 엔진 라인업을 갖췄으며, 6단 수동변속기 또는 ZF의 9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다이나믹 상시 4륜구동 시스템을 통해 도로 조건에 따라 주행 타입을 변경할 수 있었고, 파크센스 자동 평행 및 직각 주차 시스템을 적용하여 주차 편의성을 높였다.

2018년 1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앞 라이트 모양이 변경되었고, 뒤쪽 번호판 위치가 범퍼에서 해치도어로 이동했다. 글래디에이터 생산 준비를 위해 생산라인이 오하이오주 털리도에서 일리노이주 벨비디어로 이전되었다. GME-T4 2.0L 가솔린 터보 엔진이 추가되었으나, 대한민국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2023년 4월에 단종되었다.[16]

엔진배기량최고 출력최대 토크대한민국 출시 여부
2.0L 멀티젯 Ⅱ 디젤1,956cc170마력35.7kg.mO
2.2L 멀티젯 Ⅱ 디젤2,184cc185마력/200마력45.9kg.mO
2.4L 타이거샤크 가솔린2,360cc177마력/184마력23.4kg.m/24.2kg.mO
V6 3.2L 펜타스타 가솔린3,239cc271마력/275마력32.1kg.m/33.1kg.mO (2020년 출시, 이후 단종)
GME-T4 2.0L 가솔린 터보1,995cc272마력40.8kg.mX


3. 디자인

체로키는 지프 왜고니어의 2도어 모델을 재출시하면서 그린하우스를 재설계하여 C필러를 없앤 것이 특징이다. 대신 넓은 D필러와 접이식 섹션이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는 길고 단일한 고정식 후면 측면 창문을 특징으로 했다. 1974년 판매 브로셔에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했다.[3][4]

아메리칸 모터스 코퍼레이션(AMC) 주도로 개발된 2세대 체로키(XJ)는 2.5억달러의 개발비가 투입되었으며, 1984년에 출시되어 오랫동안 판매되었다. 경량의 유니바디 설계를 채택하여[5] 현대 SUV의 개척자로 평가받는다.[6]

2002년 미국에서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3세대(KJ)는 원형 헤드 램프와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하여 지프 패밀리 룩의 기초를 다졌다.[9] 랙 앤 피니언 조향 시스템을 사용한 최초의 지프 차량이었다.[9]

4세대(KK)는 2008년에 출시되었으며, 닷지 니트로와 플랫폼을 공유했다.

2013년에 출시된 5세대(KL)는 크라이슬러피아트에 인수된 후 처음으로 출시하는 지프 차량으로, 체로키라는 이름이 11년 만에 부활했다. 피아트의 컴팩트 플랫폼을 사용하여 전륜구동 기반으로 바뀌었으며,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채택하여 차세대 지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11][12] 2018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앞 라이트 모양을 변경하고, 뒤쪽 번호판 위치를 범퍼에서 해치도어로 이동했다.

3. 1. 1세대 (SJ)

1974년에 출시된 1세대는 자사의 차량인 왜고니어와 유사한 스타일링을 가졌으나, 조금 더 고급스럽게 다듬어 출시되었다. 출시 초기에는 2도어 스테이션 왜건으로만 판매되었고, 4도어 스테이션 왜건1977년에 추가되었다. 직렬 6기통 4.2L(112마력) 가솔린 엔진, V8 5.9L(175마력) 가솔린 엔진, V8 6.6L(195마력)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고, 여기에 4단 수동변속기 혹은 3단 자동변속기를 맞물렸다. 1975년에는 오프로드 능력을 추가하기 위해 더 큰 흙받이와 넓은 차축을 장착한 치프 패키지가 추가되었다.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에 위치한 지프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1983년까지 판매되었다.

체로키는 지프 왜고니어의 2도어 바디 스타일을 재도입하여 다시 출시한 모델로, 그린하우스를 재설계하여 차량의 C필러를 없앴다. 대신 체로키는 훨씬 더 넓은 D필러와 접이식 섹션이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는 길고 단일한 고정식 후면 측면 창문을 특징으로 했다. 이전에는 지프 왜고니어 라인(1963년부터 1967년까지)에서 2도어 버전을 사용할 수 있었으나, 이것은 4도어 왜고니어와 동일한 필러 및 창문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체로키는 1972년 대대적인 개편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지프스터 콤맨도를 대체했다. 체로키는 가족용 SUV로 여겨지는 왜고니어보다 젊은 시장에 어필했다.[1]

체로키는 1973년 후반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지프의 스테이션 왜건의 "스포티한" 2도어 변형으로, 오프로드 성능을 유지하면서 CJ-5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모델로 시장에 출시되었다.[2]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라는 용어는 1974년 체로키 판매 브로셔에 처음 등장했다.[3][4] 1977년형 모델부터 4도어 모델이 추가되었다. 기본 모델 외에도 체로키의 트림 레벨에는 S(스포츠), 치프, 골든 이글, 골든 호크, 리미티드, 클래식, 스포츠, 파이오니어, 라레도가 포함되었다.

3. 2. 2세대 (XJ)

아메리칸 모터스 코퍼레이션(AMC)의 주도로 2.5억달러의 개발비가 투입되었다. 1984년에 출시되어 체로키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팔린 차종으로 알려져 있다. 프레임 구조의 차체를 채택하여 오프로드 성능을 극대화시켰다. 초기에는 직렬 4기통 2.5L OHV(105마력) 카뷰레터 가솔린 엔진과 V형 6기통 2.8L LR2 OHV 가솔린 엔진, 직렬 4기통 2.1L(95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하였으며, 4단 및 5단 수동변속기, 3단 자동변속기 중 하나를 맞물릴 수 있었다. 1985년에는 후륜구동이 추가되었으며, 1987년에는 V6 4.0L OHV(173마력) 가솔린 엔진과 아이신의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1991년 가죽과 비닐 실내 장식, 카세트 플레이어와 6개의 젠슨 AccuSound 스피커, 나무 타입 외관 데칼, 레이스 스포크 휠, AM/FM 라디오와 메이플 우드 그레인, 무선 도어 경보 시스템, 오버 헤드 콘솔, 전좌석 듀얼 에어컨을 추가한 스페셜 트림인 브라이어 우드를 내놓았다. 1994년에는 직렬 4기통 2.5L(114마력) 디젤 엔진과 새로운 3단 자동변속기를 추가하였다. 1995년에는 운전석 에어백을 추가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1997년에는 부분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조수석 에어백도 추가되어 탑승자의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2001년 지프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여 모노톤 페인트, 16인치 알로이 휠, AM/FM 라디오, 키리스 엔트리가 추가된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하였다. 60주년 기념 트림을 끝으로 미국 시장에서는 단종되었으며, 이외의 국가에서는 후속 차종에도 체로키라는 이름을 부여하여 역사를 이어갔다. 대한민국에는 1992년 우성산업을 통해 정식 출시됐으며, 2002년까지 판매됐다.

1984~2001 지프 체로키 2도어


풀사이즈 왜건인 그랜드 왜건(Grand Wagoneer)이 8년 더 생산을 계속하는 동안, 체로키(Cherokee)는 1984년형부터 2001년까지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전되었다. 기존의 차체 프레임 방식이 아닌, 경량의 유니바디 설계를 채택했다.[5]

이 세대의 체로키는 경쟁 차종들을 낳았고,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이 지프 디자인이 일반 승용차를 대체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아챘기 때문에, 현대 SUV의 개척자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6] 또한 스테이션 왜건의 역할을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수많은 교외 주택 소유자의 눈에는 트럭에서 리무진으로 변신했다."[7] XJ는 "4륜구동의 진화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8]

2세대 체로키의 후속 차량은 지프 그랜드 체로키라는 별도의 차량으로 출시되어 지프의 주력 모델 라인을 시작했다.

3. 3. 3세대 (KJ)



2002년 미국에서는 리버티라는 새로운 차명으로 출시되었으나, 미국 외 국가에서는 여전히 체로키라는 차명으로 판매되었다. 이 때부터 오하이오주 털리도 북부공장에서 생산되었다. MB를 연상시키는 원형 헤드 램프와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하여 오늘날 지프 패밀리 룩의 기초를 다졌다.[9] 초기에는 V6 3.7L OHV(210마력) 가솔린 엔진과 직렬 4기통 2.5L(141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4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하였다. 2006년에는 직렬 4기통 2.4L(150마력) 가솔린 엔진, 직렬 4기통 2.8L(163마력) 디젤 엔진으로 바뀌었다. 여기에 5단 및 6단 수동변속기도 맞물렸다. 4륜구동은 상시와 파트 타임 형태로 나뉘었다. 2004년에는 부분 변경을 거쳐 범퍼 형상이 약간 변경되었다. 대한민국에는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2002년에 출시되어 2007년까지 판매되었다.

3세대 모델은 북아메리카 시장에서 그랜드 체로키와 차별화하기 위해 "'지프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2002년형 모델을 위해 2001년 4월에 출시되었다. 체로키는 랭글러와 그랜드 체로키 사이의 가격에 위치했다. 2007년형 모델로 크로스오버 기반의 4도어 컴패스와 패트리엇이 출시될 때까지 4도어 지프 SUV 중 가장 작은 모델이었다. 체로키는 모노코크(Unibody) 구조를 특징으로 했다. 미국과 이집트, 베네수엘라를 포함한 다른 국가에서 톨레도 노스 조립 공장에서 조립되었다. KJ는 랙 앤 피니언 조향 시스템을 사용한 최초의 지프 차량이었다.[9] 또한 새롭게 출시된 "파워텍" 엔진을 탑재한 최초의 지프였으며, 150hp 2.4L I4 엔진과 210hp 3.7L V6 엔진이 있었다. KJ 체로키는 또한 독립 현가장치를 채택하였다.[10]

3. 4. 4세대 (KK)

2007년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2008년에 출시되었다. 닷지 니트로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이전 세대에 있던 4기통 엔진은 컴패스의 등장으로 사라졌다. 이전 세대에서도 사용하던 V6 3.7L OHV(210마력) 가솔린 엔진만 적용되었으며, 4단 자동변속기 및 6단 수동변속기를 맞물렸다. 2009년에는 수요가 부진한 6단 수동변속기의 생산을 중단했으며, 2010년에는 에코 드라이브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2012년 8월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 공장에서 생산이 중단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으며, 2013년 단종되면서 리버티라는 차명은 소멸되었다. 대한민국에는 4세대 체로키 대신 형제차인 닷지 니트로2007년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09년 수입이 중단되었다.

지프 체로키 리버티 (미국)


북미 시장에서는 지프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계속 판매되었지만, 체로키는 2008년에 새롭게 디자인되었다. 4세대 체로키는 뱃지 엔지니어링을 통해 도지에서 나이트로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나이트로는 2011년 이후 단종되었다.[1]

4기통 엔진은 더 작은 패트리엇과 컴패스가 더 높은 연비를 제공했기 때문에 삭제되었다. 2008년 모델부터 아이언 블록, 알루미늄 헤드 V6 엔진이 표준 엔진이 되었다. 견인 능력은 약 2267.96kg였다. 지프는 2007년 디젤 엔진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할 수 없어 미국 시장에서 체로키의 CRD를 단종했다. 변속기는 6단 수동 변속기 또는 4단 자동 변속기였다. 표준 장비에는 롤 완화 기능이 포함된 전자식 안정성 제어 장치, 미끄럼 방지 장치, 브레이크 어시스트가 있는 잠금 방지 브레이크가 포함되었다. 새로운 기능으로는 표준 사이드 에어백이 있었다. 선택 사양으로는 비 오는 날 감지 와이퍼, 시리우스 위성 라디오, 블루투스, 내비게이션 시스템, 30GB 하드 드라이브가 있는 마이기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있었다.[2]

3. 5. 5세대 (KL)

2013년에 출시되었다. 크라이슬러피아트에 인수된 후 처음으로 출시하는 지프의 차종이며, 체로키라는 이름이 11년 만에 다시 부활했다. 피아트의 컴팩트 플랫폼을 사용하여 체로키 역사상 처음으로 전륜구동 기반으로 바뀌었다. 전륜구동과 4륜구동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날렵하고 매서운 디자인이 특징이며,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채택하여 차세대 지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11][12] 직렬 4기통 2.0L 멀티젯 Ⅱ(170마력) 디젤 엔진과 2.2L 멀티젯 Ⅱ(185마력) 디젤 엔진, 타이거샤크 184마력 2.4리터 SOHC 가솔린 엔진과 275마력 펜타스타 V6 3.2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이 적용되었다. 여기에 6단 수동변속기ZF의 9단 자동변속기를 맞물린다. 다이나믹 상시 4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하여 도로 조건에 따라 주행 타입을 바꿀 수 있으며, 사막과 진흙탕도 주파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로 공간을 감지하여 스티어링 휠을 자동으로 조작하는 파크센스 자동 평행 및 직각 주차 시스템을 적용하여 주차 시 편의성을 높였다.

대한민국에는 2014년 9월에 FCA 코리아를 통해 출시되었다. 커먼레일 디젤 엔진은 170마력 2.0리터 사양이 적용되다가 유로6 적용을 앞두고 185마력 2.2리터 사양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200마력으로 출력을 올렸다가 2021년부터 판매하지 않는다. 271마력 펜타스타 V6 3.2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은 2020년 1월에 대한민국 시장에 들어왔으나, 이후 소리소문없이 판매가 중단되어 대한민국에는 2023년 단종을 앞둔 시점에서 2.4리터 타이거샤크 가솔린 엔진만 남았다. 가솔린 엔진의 대한민국 복합연비는 4륜구동 기준으로 2.4리터 SOHC 9.3km/L, V6 3.2리터 DOHC 8.1km/L다.

250x250픽셀


249x249픽셀


2018년 1월에 페이스리프트를 단행하면서 앞 라이트 모양을 변경했고, 뒤쪽 번호판은 범퍼에서 해치도어로 이동했다. 또한 이 무렵 글래디에이터의 양산 준비를 위해 생산라인을 오하이오주 털리도에서 일리노이주 벨비디어로 옮겼다. 이때 GME-T4 2.0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이 추가됐으나, 대한민국에는 GME-T4 엔진 사양이 출시되지 않았다.

2023년 4월에 단종됐다.

4. 성능

지프 체로키는 각 세대별로 다양한 엔진과 변속기를 조합하여 특징적인 성능을 제공했다.

세대엔진 종류변속기 종류특징
1세대 (SJ)4.2L, 5.9L, 6.6L 가솔린4단 수동, 3단 자동고급스러운 디자인, 오프로드 성능 강화[1]
2세대 (XJ)2.5L, 2.8L, 4.0L 가솔린, 2.1L, 2.5L 디젤4단/5단 수동, 3단/4단 자동경량 유니바디 설계, 현대 SUV의 개척자[5]
3세대 (KJ)3.7L, 2.4L 가솔린, 2.5L, 2.8L 디젤4단 자동, 5단/6단 수동지프 리버티로도 판매, 랙 앤 피니언 조향 시스템, 독립 현가장치[9][10]
4세대 (KK)3.7L 가솔린4단 자동, 6단 수동 (2009년 단종)닷지 니트로와 플랫폼 공유, 2007년 디젤 모델 단종[1]
5세대 (KL)2.0L, 2.2L, 2.4L, 3.2L 가솔린/디젤9단 자동피아트 플랫폼 기반, ZF 9단 자동변속기, 다이나믹 상시 4륜구동[12]



5세대 모델은 ZF의 9단 자동변속기와 다이나믹 상시 4륜구동 시스템을 통해 도로 조건에 따라 주행 타입을 변경할 수 있어 사막과 진흙탕 주행도 가능하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파크센스 자동 평행 및 직각 주차 시스템도 적용되었다.

4. 1. 1세대 (SJ)

1974년에 출시된 1세대는 자사의 차량인 왜고니어와 유사한 스타일링을 가졌으나, 조금 더 고급스럽게 다듬어 출시되었다. 출시 초기에는 2도어 스테이션 왜건으로만 판매되었고, 4도어 스테이션 왜건은 3년 뒤인 1977년에 추가되었다. 직렬 6기통 4.2L(112마력) 가솔린 엔진, V8 5.9L(175마력) 가솔린 엔진, V8 6.6L(195마력)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고, 여기에 4단 수동변속기 혹은 3단 자동변속기를 맞물렸다.[1] 1975년에는 오프로드 능력을 추가하기 위해 더 큰 흙받이와 넓은 차축을 장착한 치프 패키지가 추가되었다.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에 위치한 지프 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1983년까지 판매되었다.

체로키는 지프 왜고니어의 2도어 바디 스타일을 재도입하여 다시 출시한 모델로, 그린하우스를 재설계하여 차량의 C필러를 없앴다. 대신 체로키는 훨씬 더 넓은 D필러와 접이식 섹션이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는 길고 단일한 고정식 후면 측면 창문을 특징으로 했다.[2] 이전에는 지프 왜고니어 라인(1963년부터 1967년까지)에서 2도어 버전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4도어 왜고니어와 동일한 필러 및 창문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체로키는 1972년 대대적인 개편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지프스터 콤맨도를 대체했다. 체로키는 가족용 SUV로 여겨지는 왜고니어보다 젊은 시장에 어필했다.[3]

체로키는 1973년 후반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지프의 스테이션 왜건의 "스포티한" 2도어 변형으로, 오프로드 성능을 유지하면서 CJ-5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모델로 시장에 출시되었다.[4]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라는 용어는 1974년 체로키 판매 브로셔에 처음 등장했다. 1977년형 모델부터 4도어 모델이 추가되었다. 기본 모델 외에도 체로키의 트림 레벨에는 S(스포츠), 치프, 골든 이글, 골든 호크, 리미티드, 클래식, 스포츠, 파이오니어, 라레도가 포함되었다.

4. 2. 2세대 (XJ)

아메리칸 모터스 코퍼레이션(AMC)의 주도로 2.5억달러의 개발비가 투입되었다. 1984년에 출시되어 체로키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팔린 차종으로 알려져 있다. 프레임 구조의 차체를 채택하여 오프로드 성능을 극대화시켰으며, 초기에는 직렬 4기통 2.5L OHV(105마력) 카뷰레터 가솔린 엔진과 V형 6기통 2.8L LR2 OHV 가솔린 엔진, 직렬 4기통 2.1L(95마력) 디젤 엔진을 탑재하였으며, 4단 및 5단 수동변속기, 3단 자동변속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다. 1985년에는 후륜구동이 추가되었으며, 1987년에는 V6 4.0L OHV(173마력) 가솔린 엔진과 아이신의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1991년에는 가죽과 비닐 실내 장식, 카세트 플레이어와 6개의 젠슨 AccuSound 스피커, 나무 타입 외관 데칼, 레이스 스포크 휠, AM/FM 라디오와 메이플 우드 그레인, 무선 도어 경보 시스템, 오버 헤드 콘솔, 전좌석 듀얼 에어컨을 추가한 스페셜 트림인 브라이어 우드를 내놓았다. 1994년에는 직렬 4기통 2.5L(114마력) 디젤 엔진과 새로운 3단 자동변속기를 추가하였다. 1995년에는 운전석 에어백을 추가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1997년에는 부분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조수석 에어백도 추가되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였다. 2001년에는 지프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여 스페셜 에디션을 내놓았는데, 모노톤 페인트, 16인치 알로이 휠, AM/FM 라디오, 키리스 엔트리가 추가되었다. 60주년 기념 트림을 끝으로 미국 시장에서는 단종되었으며, 이외의 국가에서는 후속 차종에도 체로키라는 이름을 부여하여 역사를 이어갔다. 대한민국에는 1992년에 우성산업을 통해 정식 출시됐으며, 2002년까지 판매됐다.

지프 체로키 정측면


지프 체로키 후측면


풀사이즈 왜건인 그랜드 왜건(Grand Wagoneer)이 8년 더 생산을 계속하는 동안, 체로키(Cherokee)는 1984년형부터 2001년까지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전되었다. 기존의 차체 프레임 방식이 아닌, 경량의 유니바디 설계를 채택했다.[5]

이 세대의 체로키는 경쟁 차종들을 낳았고,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이 지프 디자인이 일반 승용차를 대체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아챘기 때문에, 현대 SUV의 개척자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6] 또한 스테이션 왜건의 역할을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수많은 교외 주택 소유자의 눈에는 트럭에서 리무진으로 변신했다."[7] XJ는 "4륜구동의 진화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8]

너무 인기가 많아서 2세대 체로키의 후속 차량은 지프 그랜드 체로키라는 별도의 차량으로 출시되어 지프의 주력 모델 라인을 시작했다.

4. 3. 3세대 (KJ)



3세대 체로키는 미국에서는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2002년에 출시되었으나, 미국 외 국가에서는 체로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오하이오주 털리도 북부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MB를 연상시키는 원형 헤드 램프와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하여 지프 패밀리 룩의 기초를 다졌다.

초기에는 V6 3.7L OHV(210마력) 가솔린 엔진과 직렬 4기통 2.5L(141마력) 디젤 엔진, 4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하였다. 2006년에는 직렬 4기통 2.4L(150마력) 가솔린 엔진, 직렬 4기통 2.8L(163마력) 디젤 엔진으로 변경되었고, 5단 및 6단 수동변속기도 선택 가능했다. 4륜구동은 상시와 파트 타임 형태로 제공되었다. 2004년에는 범퍼 디자인이 약간 변경되는 부분 변경이 있었다.

대한민국에는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2002년에 출시되어 2007년까지 판매되었다.

3세대 모델은 북아메리카 시장에서 그랜드 체로키와 차별화하기 위해 지프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2001년 4월에 2002년형 모델로 출시되었다. 랭글러와 그랜드 체로키 사이에 위치했으며, 2007년형 컴패스와 패트리엇이 출시될 때까지 가장 작은 4도어 지프 SUV였다. 모노코크(Unibody) 구조를 채택했으며, 미국, 이집트, 베네수엘라 등지의 톨레도 노스 조립 공장에서 조립되었다.

KJ는 랙 앤 피니언 조향 시스템[9]과 파워텍 엔진을 탑재한 최초의 지프였다. 150hp 2.4L I4 엔진과 210hp 3.7L V6 엔진이 제공되었다. 독립 현가장치를 채택한 두 번째 지프 차량이었다.[10]

4. 4. 4세대 (KK)

2007년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되었고, 2008년에 출시되었다. 닷지 니트로와 플랫폼을 공유했으며, 이전 세대에 있던 4기통 엔진은 컴패스의 등장으로 사라졌다. V6 3.7L OHV(210마력) 가솔린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 또는 6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1] 2009년에는 수요 부진으로 6단 수동변속기 생산이 중단되었고,[1] 2010년에는 에코 드라이브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2012년 8월,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 공장에서 생산이 중단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으며, 2013년에 단종되면서 리버티라는 차명은 소멸되었다. 대한민국에는 4세대 체로키 대신 형제차인 닷지 니트로2007년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09년 수입이 중단되었다.

지프 체로키 정측면


지프 체로키 후측면


북미 시장에서는 지프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지만, 체로키는 2008년에 새롭게 디자인되었다. 4세대 체로키는 뱃지 엔지니어링을 통해 도지에서 나이트로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세르지오 마르치오네는 도와 지프(그리고 크라이슬러)가 같은 판매망을 공유하면서 중복되는 차량을 피하고자 했기 때문에 나이트로는 2011년 이후 단종되었다.

4기통 엔진은 더 작은 패트리엇과 컴패스가 더 높은 연비를 제공했기 때문에 체로키 모델에서 삭제되었다. 2008년 모델부터 아이언 블록, 알루미늄 헤드 V6 엔진이 표준 엔진이 되었다. 견인 능력은 약 2267.96kg였다. 지프는 2007년 디젤 엔진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할 수 없어 미국 시장에서 체로키의 CRD를 단종했다. 변속기는 6단 수동 변속기 또는 4단 자동 변속기였다. 표준 장비에는 롤 완화 기능이 포함된 전자식 안정성 제어 장치, 미끄럼 방지 장치, 브레이크 어시스트가 있는 잠금 방지 브레이크가 포함되었다. 새로운 기능으로는 표준 사이드 에어백이 있었다. 선택 사양으로는 비 오는 날 감지 와이퍼, 시리우스 위성 라디오, 블루투스, 내비게이션 시스템, 30GB 하드 드라이브가 있는 마이기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있었다.

4. 5. 5세대 (KL)

2013년에 출시되었다. 크라이슬러피아트에 인수된 후 처음으로 출시된 지프 차량이며, 체로키라는 이름이 11년 만에 다시 사용되었다. 피아트의 컴팩트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체로키 역사상 처음으로 전륜구동 기반으로 변경되었다. 전륜구동과 4륜구동 중 선택할 수 있다. 7-슬롯 라디에이터 그릴을 채택하여 차세대 지프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했다.

지프 체로키 정측면


지프 체로키 후측면


직렬 4기통 2.0L 멀티젯 Ⅱ(170마력) 디젤 엔진, 2.2L 멀티젯 Ⅱ(185마력) 디젤 엔진, 타이거샤크 184마력 2.4리터 SOHC 가솔린 엔진, 275마력 펜타스타 V6 3.2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이 적용되었다. ZF의 9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된다. 다이나믹 상시 4륜구동 시스템을 통해 도로 조건에 따라 주행 타입을 변경할 수 있으며, 사막과 진흙탕 주행도 가능하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파크센스 자동 평행 및 직각 주차 시스템이 적용되어 주차 편의성을 높였다.

대한민국에는 2014년 9월 FCA 코리아를 통해 출시되었다. 170마력 2.0리터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적용되다가 유로6 적용을 앞두고 185마력 2.2리터로 변경되었고, 이후 200마력으로 출력이 향상되었다가 2021년부터 판매가 중단되었다. 271마력 펜타스타 V6 3.2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은 2020년 1월에 대한민국 시장에 도입되었으나, 판매가 중단되어 2023년 단종 시점에는 2.4리터 타이거샤크 가솔린 엔진만 남았다. 가솔린 엔진의 대한민국 복합연비는 4륜구동 기준으로 2.4리터 SOHC 9.3km/L, V6 3.2리터 DOHC 8.1km/L이다.

2018년 1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앞 라이트 모양이 변경되었고, 뒤쪽 번호판 위치가 범퍼에서 해치도어로 이동했다. 글래디에이터 생산 준비를 위해 생산라인이 오하이오주 털리도에서 일리노이주 벨비디어로 이전되었다. GME-T4 2.0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이 추가되었으나, 대한민국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2023년 4월에 단종됐다.

5세대 지프 체로키는 피아트 컴팩트/컴팩트 U.S. 와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된 최초의 지프 차량이다.[12] 고속도로 연비는 31mpgu.s.이며,[13] 이전 모델보다 45% 향상된 연비를 제공한다.[12][14]

2018년형 모델은 전면부가 업데이트되었고, 새로운 2.0L 터보 엔진은 270hp 및 295lb·ft의 토크를 발휘한다. 3.2L V6 엔진과 2.4L 직렬 4기통 엔진도 제공되었다.

2021년형 모델에는 더 많은 표준 편의 기능이 추가되었고, 라티튜드 럭스 및 80주년 기념 트림이 새롭게 출시되었다.[15]

지프 체로키는 2023년 2월 28일까지 벨비디어 조립 공장(벨비디어, 일리노이주)에서 조립되었다.[16]

"Trailhawk" 트림은 오버 펜더 장착으로 전폭을 넓히고, 루프 레일 장착으로 전고를 높였다. 오프로드 주행 시 차량 자세를 제어하는 "셀렉트 스피드 컨트롤"을 추가하여 "Trail Rated" 배지를 부착했다.

5. 대한민국 시장

1992년 우성산업을 통해 2세대 체로키(XJ)가 대한민국에 정식 출시되었다.[5] 2002년까지 판매되었으며, 같은 해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3세대 체로키(KJ)가 출시되었다.[9] 3세대 모델은 2007년까지 판매되었다.

2007년 4세대 체로키(KK) 대신 형제차인 닷지 니트로가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대한민국에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2009년 수입이 중단되었다.

2014년 9월, FCA 코리아를 통해 5세대 체로키(KL)가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되었다.[11] 커먼레일 디젤 엔진은 170마력 2.0L 사양이 적용되다가 유로6 적용을 앞두고 185마력 2.2L 사양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200마력으로 출력을 높였다가 2021년부터 판매하지 않았다. 271마력 펜타스타 V6 3.2L DOHC 가솔린 엔진은 2020년 1월에 대한민국 시장에 들어왔으나, 이후 판매가 중단되었다. 2023년 단종 시점에는 2.4L 타이거샤크 가솔린 엔진만 남았다. 가솔린 엔진의 대한민국 복합연비는 4륜구동 기준으로 2.4L SOHC 9.3km/L, V6 3.2L DOHC 8.1km/L이다.

5세대 모델은 2018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대한민국에는 2018년 10월 20일 부분 변경 모델이 발표 및 판매되었다. V6 DOHC 24밸브 3.2L "펜타스타" 엔진 라인업이 사라지고, 크라이슬러의 직렬 4기통 DOHC 16밸브 2.0L 트윈 스크롤 터보가 추가됨과 동시에, 저가 모델용으로 직렬 4기통 SOHC 16밸브 2.4L "멀티에어2 타이거샤크"가 다시 도입되었다.

2022년 11월 현재 일본 시장에서의 판매는 종료되었으며, 2023년 4월 5세대 체로키(KL)는 완전히 단종되었다.

6. 논란

지프 체로키의 이름과 관련하여, 체로키 족의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6. 1. 체로키 부족 명칭 사용

1973년에 출시된 1974년형 모델 당시 체로키 족은 지프사에 이름에 대해 문의하지 않았고, 체로키라는 이름에 대한 저작권도 없었으며, 부족에게는 이름 사용에 대한 로열티도 제공되지 않았다.[17] 당시 이름들은 "수년에 걸쳐 신중하게 선택되고 보살펴져 왔으며, 그들의 고귀함, 뛰어남, 그리고 자부심을 기리기 위해 북미 원주민들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18]

2021년 2월, 척 호스킨 주니어 체로키 족 추장은 지프사에 차량 이름을 변경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우리나라에서는 기업과 스포츠팀 모두 제품, 유니폼, 스포츠 전반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의 이름, 이미지, 마스코트 사용을 중단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라며 "확실히 선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우리 이름을 자동차 옆에 붙이는 것은 우리를 존중하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우리를 존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의 주권 정부, 이 나라에서 우리의 역할, 역사, 문화, 언어에 대해 배우고, 연방 정부에서 인정하는 부족들과 문화적 적절성에 대해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누는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19][20] 원주민 관련 이름과 브랜드의 사용은 "미국에서 끔찍한 학대와 토지 몰수의 역사와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특히 어려운 문제입니다."[21]

2021년 3월, 카를로스 타바레스 스텔란티스 CEO는 차량에서 체로키라는 이름을 삭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회사는 SUV에 부족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체로키 족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12] 이후 논의를 거쳐 지프는 일부 차량 버전에 체로키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하기로 결정했다.[22]

참조

[1] 웹사이트 Nothing More, Nothing Less: Sweet Photos of Old Jeeps! https://www.caranddr[...] 2016-01-09
[2] 웹사이트 1974 model year Jeep Cherokee brochure – front http://www.lov2xlr8.[...] 2018-01-04
[3] 웹사이트 1974 model year Jeep brochure picture – Cherokee page https://www.autopape[...] 2024-04-05
[4] 서적 Jeep: Collector's Library Motorbooks MBI
[5] 웹사이트 Jeep Cherokee, the best of breed SUV: 1975-2001 https://www.allpar.c[...] 2020-11-16
[6] 서적 High and Mighty: SUVs — the World's Most Dangerous Vehicles and How They Got That Way https://archive.org/[...] PublicAffairs
[7] 잡지 20 Greatest Cars - 2006 Jeep Grand Cherokee price starts at $27,415 https://web.archive.[...] 2006-03-15
[8] 서적 Jeep Off-Road https://books.google[...] Motorbooks
[9] 웹사이트 2002-2004 Jeep Liberty (European Jeep Cherokee): Remake of a classic SUV https://www.allpar.c[...] 2021-01-14
[10] 웹사이트 Bruce Rice's 1963 IFS Wagoneer 4x4 https://web.archive.[...] 2007-12-24
[11] 뉴스 Chrysler lets 2014 Jeep Cherokee details fly ahead of New York auto show debut http://www.nydailyne[...] 2013-02-27
[12] 웹사이트 The All-New 2014 Jeep Cherokee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2014 Jeep Cherokee flaunts its new contemporary curves http://www.autoblog.[...] 2013-03-27
[14] 웹사이트 Jeep Revives Cherokee For 2014 With Polarizing New Design https://www.forbes.c[...] 2013-02-26
[15] 웹사이트 Jeep Cherokee Prices, Reviews, and Pictures https://www.edmunds.[...] 2020-10-13
[16] 웹사이트 Stellantis idles Belvidere plant as last Jeep Cherokee rolls off the line https://www.autoblog[...] 2023-02-28
[17] 웹사이트 Jeep's facing the first official requests to drop the Cherokee name nearly 50 years after launching the SUV https://www.business[...] 2021-03-09
[18] 웹사이트 Jeep open to dropping Cherokee name, CEO says https://www.nbcnews.[...] 2021-03-04
[19] 웹사이트 Chief of Cherokee Nation Says 'It's Time' for Jeep to Stop Using Name https://www.caranddr[...] 2021-03-04
[20] 웹사이트 Cherokee Nation Wants Jeep To Stop Using Tribe's Name On SUVs https://www.huffpost[...] 2021-02-22
[21] 뉴스 Opinion: The Jeep Cherokee is not a tribute to Indians. Change the name. https://www.washingt[...] 2021-03-07
[22] 웹사이트 Jeep To Proceed With New Cherokee SUVs Despite Backlash From Cherokee Nation https://www.carscoop[...] 2021-03-23
[23] 웹사이트 The Jeep Cherokee Discontinued After 49 Years https://www.powernat[...] 2023-03-24
[24] 웹사이트 Jeep Kills Cherokee, Breaks Nearly 50-Year Production Run https://www.roadandt[...] 2023-03-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